[인문사회] 국어의 역싸 / 5. 국어의 역싸 (2)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2 17:30
본문
Download : 국어의 역사.hwp
아울러 시대에 따른 우리말의 변화를 통하여 국어의 history를 살필 수 있다. 고전 문법은 1차시 훈민정음 언해 부분에서 기본반, 심화반에 정도의 차이를 두고 개략적으로 한다. 이 단원은 구체적 reference(자료)가 나오기 때문에 탐구 수업이 가능하다. 국어의 전면적 표기화로서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언어 생활을 생생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‘세종 어제 훈민정음’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 취지, 자모의 음가, 자모의 운용, 음절 이루기와 방점을 살필 수 있고, ‘소학 언해’에서는 전통적 가치관인 효와 벗의 선택을 , ‘순신역전’에서는 당시의 국가관인 충을 배울 수 있으며, ‘노걸대 언해’에서는 당대의 언어 학습 방법을 익힐 수 있다.
Download : 국어의 역사.hwp( 15 )
5. 국어의 역싸 (2)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 세종 대왕의...
순서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5. 국어의 history (2)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 세종 대왕의 훈민정음 창제는 문화사적으로 큰 사건이다. ⊙ 소단원 학습의 설계 이 단원은 앞에서 국어의 특질과 history적 변천 과정에 관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훈민정음 언해 (15세기), 소학언해 (16세기), 동국신속삼강행실도 (17세기 초), 노걸대언해 (17세기 말) 등의 작품을 통해 사적 변천 과정 속에서 각 단계 국어의 구체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. 각 작품에 나타난 우리말의 모습을 통해 음운 체계, 문법 체계 및 어휘 체계를 서로 비교 정리(arrangement)하여 우리말의 옛 모습과 국어의 변천 과정을 스스로 이해하도록 하고, 현대 국어의 표기법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알도록 지도한다. 이 경우 기본반은 문법적인 analysis(분석) 에 너무 얽매인다든지 내용의 해석에만 치우치는 일이 없도록 하고, 심화반은 기본반의 수준을 바탕으로 하여 가능한한 원리의 이해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른 글에까지 적용하도록 한다. 시간은 2시간을 배당하며 1차시엔 소단원 개관과 훈민정음 언해 , 소학언해 , 2차시엔 동국신속삼강행실도 , 노걸대언해 를 학습 대상으로 하면서 마무리 종합한다. 본시 학습 활동은 교과서의 ‘학습 원리’와 ‘학습 활동’을 중심으로 과제課題...
5. 국어의 역사 (2)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 세종 대왕의...





인문사회 국어의 역사 / 5. 국어의 역사 2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
[인문사회] 국어의 역싸 / 5. 국어의 역싸 (2) 우리말의 옛 모습 ⊙ 소단원 개관
설명
다.